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요한계시록5

요한계시록 2장 두아디라) 구약의 이세벨과 신약의 이세벨? 6. 책망과 견책 두아디라 교회가 소수의 개혁자들로 인해 칭찬을 받았지만 그런 칭찬이 교회가 저지른 심각한 잘못에 대한 변명은 될 수 없었다. (1) 이세벨을 용납한 교회 ① 구약의 이세벨 (왕상 16:31; 19:1~8; 21:5~15, 23~25; 왕하 9:22~37) ② 신약의 이세벨 : 파멸의 여선지자 이세벨이 두아디라 시대에 다시 나타난다. 신약의 이세벨은 누구이며 어떤 일을 했는가? 두아디라(538~1517 년) 시대에 접어들면서 교회는 세속의 권세와 동맹을 맺어 교권과 정권을 함께 장악함으로써 아합과 이세벨의 결혼관계에 들어간다. 버가모 시대가 교권과 정권의 연애 시절이었다면 두아디라 시대는 결혼생활로 비유할 수있을것이다. ③ 자주 옷을 입은 여인 - 현대 바벨론(계 17:1~6) : 계시록.. 요한계시록 강해 2022. 8. 21.
요한계시록 2장) 두아디라 교회: 역사와 배경 1. 시대적 배경 일곱교회 가운데서 가장 작은 교회이면서 제일 긴 편지를 받고있는 두아디라는 사도행전에서 소개된 바와 같이 염색업을 비롯해서(행 16:14) 주석 제련 등 각종 제조업이 발달(산업도시)했다. 하지만 도시는 대부분 가난하고 초라한 노동자들로 고달픈 생계를 유지하며 생활을 하고 있었다. 그래서인지 두아디라 이름의 뜻은 "수고의 향기" 라고 알려지고 있다. 두아디라 시대는 하나님의 백성들이 믿음으로 말미암는 구원의 기쁨과 평안을 상실하고 행함으로 이루어지는 구원을 표방한 중세 로마 교황청의 온갖 시달림 속에서 살아야 했던 기나긴 중세의 천년간을 가리키기에 적합하다. 4세기 버가모 시대 동안꾸준 히 성장해 온 교황청이 538 년 마침내 권력을 장악한 이후 1517 년 10 월 31 일 루터에 의.. 요한계시록 강해 2022. 8. 17.
요한계시록 2장-5) 버가모 교회: 시대적·종교적 배경 1. 이름의 뜻과 시대적 배경 일곱 교회 중에서 세 번째 교회인 버가모 교회, ‘‘성채", “높이 들려진" 이라는 뜻의 이름을 가지고 있는 버가모는, 계시록이 쓰여지던 당시에는 로마의 소아시아 도청 소재지였던 곳으로 로마의 총독이 주재하여 황제의 명령이 전 아시아로 전달되는 정치의 중심지 였고, 또한 로마의 대법원이 있어서 아시아 각 도의 죄수들이 버가모 로 호송되어 칼날같이 엄격한 로마법에 재판을 받고 처형되던 곳이었다. 그리고 종교가 국가에 의해 좌우되던 시대라 국교의 중심지이기도 했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으로 서머나 시대의 말년인 313 년에 로마제 국의 공인된 종교가 된 기독교는 버가모 시대인 392 년에는 로마의 국 교로 "높이 들려 진다 또 이러한 교회사의 배경으로 버가모 교회 시대는 313년.. 요한계시록 강해 2022. 8. 5.
요한계시록 강해) 서론2-2: 기록 목적 2. 요한계시록의 기록 목적 요한계시록은 편지 형태로 기록되었다. 어떤 편지든 그것을 이해하 는 일차적인 원리는 그 편지가 누구에 의해 기록되어, 누구에게 보내 졌으며, 그리고 왜 그 편지를 쓰게 됐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첫 독자 들 즉 그 편지를 처음 받았던 사람들에 관해 알면 알수록 우리는 계시 록을 쓴 이유와 그 계시의 중요성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요한계시록이 일차적으로 로마의 지배를 받고 있는 아시아의 일곱 교회를 위하여 기록되었다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요한은 아시 아에 있는 일곱교회에 편지하노니…"(계 1:4). 예수께서도 “가로되 너 보는 것을 책에 써서 에베소, 서머나, 버가모, 두아디라, 사데, 빌라멜 비아, 라오디게아 일곱 교회에 보내라”(계 11)고 수신자들을 분명히 밝.. 요한계시록 강해 2022. 7. 22.
요한계시록 강해) 서론1-1: 인봉하려는 세력 기독교 역사 가운데 요한계시록의 필요가 오늘날처럼 더 절실 하고 긴박했던 때가 있었을까? 사도 요한이 밧모섬에서 소아 시아의 일곱 교회에게 보냈던 서신이지만, 계시록을 기록했던 그 당 시보다 지금 더 우리에게 필요한 말씀이다. 그 이유는 요한계시록에 서 예언된 실제적 사건들이 오늘을 살고 있는 이 시대에 성취되고 있 기 때문이다 지구 역사가 대단원의 막을 내리려 하는 이 시점에, 계시록에 대한 해석은 많지만 성경에 근거한 올바른 해석이 희귀한 시대이 댜 말씀은 넘치지만 참된 말씀을 듣지 못해 목마른 시대이다. 1. 요한계시록은 인봉 된 책인가? :기독교 서점에 가보면 지난 십여 년 동안 요한계시록에 관한 주석 서 수백 권이 쏟아져 나왔다. 또한 인터넷에서 요한계시록을 검색하면 수많은 강의들이 있다. 그런.. 요한계시록 강해 2022. 7.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