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설교정리3

난민, 이혼, 자살에 대한 기독교 윤리 및 관점 난민에 대한 기독교적인 관점난민을 바라보는 시점이 다양하다. 어떤 이들은 일자리를 뺐는다고 반대하고 어떤 이들은 수용해야 한다고 한다. 기독교는 대체적으로 난민을 반대한다. 왜냐하면 대다수 난민들이 이슬람교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성경에서는 난민에 대해서 어떻게 말하고 있는가? 이스라엘이 난민이 된 것은 사실 출애굽 시대부터이다. 히브리인 이라는 뜻도 사실 난민이라는 뜻이다.5너는 또 네 하나님 여호와 앞에 아뢰기를 내 조상은 유리하는 아람 사람으로서 소수의 사람을 거느리고  애굽에 내려가서 거기 우거하여 필경은 거기서 크고 강하고 번성한 민족이 되었더니(신명기 26:5-7) 오늘날 이런 사람들을 영화 제목처럼 기생충이라고 부른다.[기생충 정의 ]1. 다른 동물체에 붙어서 양분을 빨아 먹고 사는 벌레2... 설교정리 2024. 8. 4.
구원의 원리2) 진짜 죽음 vs 가짜 죽음 1. 우리가 왜 믿어야 하며 누구를 믿어야 하는가? 우리가 예수님을 믿어야 하는 이유는 인간의 운명이 절망적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이 땅에 살아있지만 결국은 사형 집행을 앞두고 있는 사형수라는 사실이기 때문입니다. 우리 모든 사람은 다 죽습니다. 여러분과 저는 아담의 후손입니다. 아담의 후손 중에서 죽지 않은 사람이 있습니까? "죄의 삯은 사망이요" (로마서6:23) 이것이 인간의 진정한 상태인데 사람들은 잘 인정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2. 두 가지 종류의 죽음? 1) 목숨이 끊어지는 죽음(생물학적 죽음) 2) "하나님의 생명에서 떠나있는" 죽음(엡4:18) 죽은 사람들에게는 썩는 냄새가 난다. 그래서 하나님의 생명에서 떠나있는 사람들은 분노의 냄새, 교만의 냄새, 탐욕의 냄새, 음란과 무정함과 이기심.. 설교정리/구원의원리 2023. 6. 14.
구원의 원리1) 어떤 믿음을 갖고 있습니까? 1. 믿음이란 무엇인가? (요한복음14:1) "나를 믿으라" 1) 믿음은 인격과 인격 사이의 "약속으로 이루어진다. 어떤 인격자가 자기의 인격을 담보로 하여 다른 인격자와 맺은 약속을 이행하는 것이 믿음이다. 그러므로 인격이 없는 것에 대한 믿음은 "믿음"이라고 하지 않고 "미신"이라고 말한다. 2) 믿음은 인격적 교제에 있어서 피차가 상대방을 실망시키지 않는 것이다. (요한복음15:13,14) "사람이 친구를 위하여 자기 목숨을 버리면 이에서 더 큰 사랑이 없나니 너희가 나의 명하는 대로 행하면 곧 나의 친구라" 3) 믿음은 예수님을 가장 친한 친구로 삼아 그분을 실망시키지 않는 삶을 사는 것이다. 2. 교리란 무엇인가? 약속이 이행되기 위하여 요구되는 조건들을 구체적, 조직적으로 정리하여 체계화시킨 .. 설교정리/구원의원리 2023. 6.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