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계시록 8장-3) 넷째, 다섯째, 여섯째, 일곱째 나팔
지난시간(👉 요한계시록 8장-2) 첫째, 둘째, 셋째 나팔의 의미)
1. 넷째 나팔
"[12] 넷째 천사가 나팔을 부니 해 삼분의 일과 달 삼분의 일과 별들의 삼분의 일이 침을 받아 그 삼분의 일이 어두워지니 낮 삼분의 일은 비췸이 없고 밤도 그러하더라"(계 8:12).
"해"는 구약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상징하기도 하고(말 4:2), 하나님의 말씀을 상징하기도 한다(시 119:105). 예수께서 친히 "나는 세상의 빛이라"고 하셨다. 달은 성장케 하는 것을 상징한다.(신 33:14). 별들은 하나님의 사자들을 상징한다(계 1:20).그런데 어두워졌다는 것은, 영적 이해력과 통찰력이 약화되는 것을 상징한다. 영적으로 하나님에 관한 참된 지식을 없애거나 위조하는 사건들이 역사적으로 있었던 시대다.
넷째 나팔은 교회가 심각한 암흑으로 뒤덮일 것을 가리킨다. 셋째 나팔에서 쑥이 되는 것은 하나님의 말씀이 곡해를 받아 오류가 되는 것을 나타내고, 넷째 나팔은 그 말씀을 아예 제거하여 비추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구약에서 천체가 어두워지는 것은 하나님의 심판을 상징한다. 빛은 하나님의 은총의 증거로 오는 복음을 상징하고 흑암은 복음을 부인하는 결과로 오는 영적 이해력과 통찰력이 없음을 상징한다(사 60:1,2; 마 4:16).
중세의 암흑시대에 뒤이은 16세기부터 유럽은 인간의 이성을 한없이 높인 계몽주의, 이성의 시대를 거쳐 합리주의와 자유주의 사상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그리고 오늘날 교회는 이러한 사상에 점령당한 신학을 마치 고상한 진리인 양 선포하고 있다. 참으로 빛을 발해야 할 교회가 심각히 어두워진 오늘날이다.
2. 다섯째, 여섯째, 일곱째 나팔
"[13] 내가 또 보고 들으니 공중에 날아가는 독수리가 큰 소리로 이르되 땅에 거하는 자들에게 화, 화, 화가 있으리로다 이 외에도 세 천사의 불 나팔소리를 인함이로다 하더라"(계 8:13)
화를 세 번이나 반복한 것은 가장 혹독한 세 번의 심판, 즉 다섯째, 여섯째, 일곱째 나팔이 아직 남아 있다는 것을 뜻한다. 이 세 나팔은 이슬람이 세계를 괴롭게 하는 무섭고 두려운 사건을 말한다. 이 무시무시한 선포는 호세아의 예언과 흡사하다.
"[1] 나팔을 네 입에 댈찌어다 대적이 독수리처럼 여호와의 집에 덮치리니 이는 무리가 내 언약을 어기며 내 율법을 범함이로다"(호 8:1).
지금까지의 나팔은 경고성의 것이었다. 이제 나머지 세 나팔의 소리가 날 때 일어날 사건들은 이제까지 일어난 심판보다 더욱 무섭고 두려운 성질의 재앙이 될 것을 암시하고 있다. 하나님의 율법을 범한 자들에게 닥치는 심판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요한계시록 9장편에서 정리하도록 하겠다.
3. 일곱 나팔의 3가지 목적
.첫째, 하나님께서 그분의 신실한 백성들의 기도를 기억하여 응답하사 그들을 괴롭혀온 세력들을 심판하시는데 초점을 둔다. 억울한 누명을 쓰고 시련과 고통 중에 신음하는 하나님의 백성을 기억하여 그들을 압제하는 자들을 심판하시는 것이다(슥 9:14).
.둘째, 죄인을 회개시킬 목적으로 경고하고 정치적, 군사적 사건들을 도구로 사용하는 것이다(겔 33:3; 습 1:16).
.셋째, 일곱 나팔은 왕의 행차를 알리는 주의 재림과 연관이 있으며, 그분을 맞이하기 위해 진영을 가다듬으라는 나팔 소리인 것이다.
예수께서 곧 오신다! 온 세상은 주님의 재림 때 두 무리로 갈라져서 서게 될 것이다. 양과 염소의 무리로 분리되어 서게 될 것이다. 의인과 악인의 무리로 갈라져서 서게 될 것이다. 알곡과 가라지로 분리되어 서게 될 것이다. 우리는, 그리고 나는 어느 무리에 속하게 될 것인가?
'요한계시록 강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한계시록 9장-2) 성경에 예언된 이슬람과 교황청의 밀월 (4) | 2023.08.15 |
---|---|
요한계시록 9장-1) 다섯째, 여섯째 나팔 (이슬람) (8) | 2023.08.14 |
요한계시록 8장-2) 첫째, 둘째, 셋째 나팔의 의미 (2) | 2023.07.24 |
요한계시록 8장-1) 일곱 나팔의 시점은 언제인가? (12) | 2023.07.19 |
요한계시록 7장-2) 14만 4천과 11시 일꾼의 정체성 (17) | 2023.07.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