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계시록 8장-2) 첫째, 둘째, 셋째 나팔의 의미
지난 시간 (👉 요한계시록 8장-1) 일곱 나팔의 시점은 언제인가?)
1. 첫째 나팔: 그리스도를 거절한 예루살렘과 유대민족의 심판
"[7] 첫째 천사가 나팔을 부니 피 섞인 우박과 불이 나서 땅에 쏟아지매 땅의 삼분의 일이 타서 사위고 수목의 삼분의 일도 타서 사위고 각종 푸른 풀도 타서 사위더라" (계 8:7)
우박, 불, 뇌우, 피는 전쟁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삼분의 일이라는 표현은 정확한 수치를 말하기 보다는 일부분을 의미한다. 첫째 교회와 첫째 인은 요한이 아직 생존해 있던 1세기 기간에 성취되었으므로 의심할 여지없이 AD 70년에 발생한 유대 국가의 멸망이다.
구약성경에서는 푸른 "풀"이 하나님의 백성을 나타내고 있으며(사44:3,4), "나무"역시 하나님의 백성을 대신하고 있다. (시 1:3, 52:8; 9:12). 예레미야 선지자는 유대민족을 감람나무라고 일컬었으며 바벨론 사람들이 내려와서(BC 587) 산불처럼 그 가지를 불태울 것이라 하였다. (렘 11:16, 17). 또한 침례 요한도 좋은 열매 맺지 아니하는 나무를 찍어 불에 던질 것을 말했는데, 그 나무는 열매 없는 유대인들을 상징한 것이다 (마 3:10).
"너희 집이 황폐하여 버린 바 되리라" (마태 23:38).
2. 둘째 나팔: AD476년 서로마제국의 멸망
"[8] 둘째 천사가 나팔을 부니 불붙는 큰 산과 같은 것이 바다에 던지우매 바다의 삼분의 일이 피가 되고 [9]바다 가운데 생명 가진 피조물들의 삼분의 일이 죽고 배들의 삼분의 일이 깨어지더라" (계 8:8,9)
둘째 나팔은 AD 476년 서로마제국의 멸망을 뜻한다. 불은 첫째 나팔에서처럼 심판 하실 때 사용하는 표현이다. 산은 나라(사 13:4)를 의미하며 큰 산은 제국을 의미한다. 산이 나라로 나올 때는 항상 하나님의 심판의 대상으로 등장한다. 그러므로 불붙는 큰 산은 제국이 하나님의 심판의 대상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예레미야 51장에서는 바벨론을 "멸망의 산", "불타는 산"으로 부르며 멸망 당할 것으로 예고했다 (렘 51:25).
"배들"은 거만한 나라의 부의 근원을 상징하며(겔 27:25,33), 심판의 방편으로서 배들이 파괴되는 것은 경제 붕괴와 사회질서의 파괴가 일어날 것을 상징한다(대하 20:37; 사 2:16; 계 18:17~19)
참고로 베드로는 1세기 말경에 로마제국으로부터 박해를 받고 있던 유대인들이 바벨론에게 고통을 당한 걸 빗대어 로마를 "바벨론에 있는 교회"(벧 5:13)라고 상징적으로 말했다. 그러므로 바벨론은 하나님의 성도를 박해하는 나라를 상징한다.
첫째 나팔은 한때 하나님을 따르다가 언약을 깨뜨리고 배도한 이스라엘에 내린 재앙이었으나 둘째 나팔은 이방인 나라인 로마에 내리는 심판으로 적용했다.
3. 셋째 나팔: 타락한 기독교에 가해지는 심판
"[10] 세째 천사가 나팔을 부니 횃불 같이 타는 큰 별이 하늘에서 떨어져 강들의 삼분의 일과 여러 물샘에 떨어지니 [11] 이 별 이름은 쑥이라 물들의 삼분의 일이 쑥이 되매 그 물들이 쓰게 됨을 인하여 많은 사람이 죽더라" (계 8:10,11)
성경에서 "별"은 천사를 상징한다 (욥 38:7; 계9:1; 12:4). 별이 크다는 것은 중책을 맡은 천사를 가리킨다. "큰 별"은 하늘 천사들의 삼분의 일을 타락시켜 반역해서 그들과 함께 쫓겨난 그 우두머리인 루시퍼, 곧 사탄을 가리킨다. 예수께서 사탄이 하늘에서 떨어지는 것을 보았다고 했다(눅 10:18).
쑥은 "쓴 풀"이라는 뜻이며 역시 사탄을 가리키는 것으로 쓴 물이 많은 사람을 죽게 했다. 구약에서 쑥은 하나님을 떠나 우상 숭배를 조장하는 자들을 상징했다. 모세는 하나님의 백성들 중에 "독초와 쑥의 뿌리"가 생기면 단연히 불로 소멸하실 것을 엄중히 경고했다(신 29:17~21). 쑥을 먹거나 쓴 물을 마시는 것은 죄로 오염되어 부패된 자를 하나님께서 심판하시는 걸 상징한다(렘 8:14; 9:13~15).
"강들"은 참 종교와 하나님의 진리를 상징한다. "여러 물 샘"은 영적 영양을 공급해주는 "생명의 샘"(잠 13:14)과 "구원의 물"(사 12:3)인 생수의 원천인 생명의 말씀이다(요 7:38,39). 그래서 강물과 여러 물 샘은 하나님의 은혜와 말씀의 상징이다. 물이 깨끗할 때는 생명의 원천이 되어 영적 영양 공급의 젖줄이 되지만, 만일 더러워지면 강과 물 샘은 영적 사망의 근원이 되는 것이다. 참고로 솔로몬은 우물과 샘이 더러워지는 것을 악인 앞에 굴복하는 영적 결과로 상징했다(잠 25:26).
셋째 나팔이 말하는 것은 이방종교가 아니라 슬프게도 기독교를 통해 독성 있는 사탄의 비성서적 가르침이 유포되고 그로 말미암아 이 땅에 있는 하나님의 교회와 그리스도교의 진리가 오염되는 것을 의미한다. 순결한 교회에 사탄이 진리를 변질시키고 이교 문화를 받아들이게 하므로 세상과 타협하여 점점 세속화되어 영적으로 죽게 만든 것이다.
'요한계시록 강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한계시록 9장-1) 다섯째, 여섯째 나팔 (이슬람) (8) | 2023.08.14 |
---|---|
요한계시록 8장-3) 넷째, 다섯째, 여섯째, 일곱째 나팔 (3) | 2023.08.07 |
요한계시록 8장-1) 일곱 나팔의 시점은 언제인가? (12) | 2023.07.19 |
요한계시록 7장-2) 14만 4천과 11시 일꾼의 정체성 (17) | 2023.07.16 |
요한계시록 7장-1) 살아계신 하나님의 인! (3) | 2023.07.13 |
댓글